오늘은 팔꿈치 통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팔꿈치 부위는 소위 경첩관절이라고 불립니다. 손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죠. 그러나 어깨와 연결되어 있어 운동 범위가 넓어 힘줄이나 인대 손상, 또한 퇴행성 변화까지 다양하게 겪게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질환의 원인은 직업과 연관성이 높아요. 요리사나 목수, 미용사, 택배기사 등 팔을 무리하게 사용한다거나 반복된 작업, 때로는 외상, 운동으로 인해 생길 수 있으며 이렇게 미세한 손상과 과사용이 주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골프엘보와 테니스엘보는 팔꿈치가 아플 때 의심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인데요.
오늘은 생각보다 주변에서 흔하게 겪을 수 있는 팔꿈치 통증에 대해 준비해봤습니다.
요즘 팔꿈치 통증으로 아파서 병원을 찾는 분들이 계신데요. "팔꿈치 어디가 아프세요?"라고 물어봤을 때, "엘보 때문에 왔어요"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이때 "엘보 어디가 안 좋으세요?"라고 되묻게 되면 어느 부위가 아픈지 정확하게 알지 못해서 말씀을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치료해도 잘 낫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는 팔꿈치 통증이 무엇인지 예방 운동과 물리치료 방법은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팔꿈치 통증이란?
팔꿈치는 영어로 엘보우(elbow)라고 하죠. 엘보는 팔꿈치 뼈를 말하는데요. 바깥쪽에 튀어나온 뼈가 만져지는 부위를 외상과라고 합니다. 즉, 위팔뼈 아래 바깥쪽입니다. 안쪽에도 만져지는데 이건 내상과라고 하고요. 엘보는 이 주위에 염증이 생겨서 아픈 병인데 보통 바깥쪽은 테니스 엘보, 안쪽은 골프 엘보라고 많이 부릅니다. 팔꿈치 통증이 어떤것인지 이해가 되셨나요?
팔꿈치 통증의 원인
팔꿈치 통증의 원인은 습관 또는 직업의 영향으로 인해 손목을 반복적으로 무리하여 사용하는 분들, 그리고 근육과 인대 등의 조직들의 노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약해지면서 발병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갑작스러운 큰 충격이 팔에 가해질 경우 힘줄이 손상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책상 위에 팔을 걸친 자세로 컴퓨터를 하는 분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평소 팔을 굽혔다 펼 때 팔꿈치 통증이 있다면 아래 증상이 동반되지는 않는지 살펴봅시다.
팔꿈치 통증의 증상
팔꿈치 통증에는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자신에게 몇개나 되는지 한 번 체크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세수를 할 때 찌릿한 통증이 발생한다.
- 키보드, 마우스 작업을 할 때 관절에 힘을 주면 아프다.
- 주먹을 쥐거나 손목을 뒤로 젖힐 때 아픈 느낌이 더 심해진다.
- 빨래를 짜거나 손잡이를 돌릴 때 통증이 느껴진다.
- 손목을 굽힌 상태에서 팔꿈치 안쪽을 누르면 아프다.
- 팔꿈치가 책상에 닿으면 아프다.
팔꿈치 통증 예방법
팔꿈치 통증 치료법은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완치가 가능한데요.
이미 각 병원의 차별화된 관절 치료 방법은 이미 많이 입소문이 나 있는 터라 점점 더 휴가철이고 활동량이 많은 최근 더 환자분들이 급증하기도 합니다.
참고적으로 팔꿈치 통증의 큰 증상은 바로 팔꿈치의 통증 입니다. 팔을 앞으로 편뒤 손가락에 힘을 준 상태에서 가운데 손가락을 아래로 누르면 팔꿈치 통증이 느껴지지요. 증상이 더욱 악화될수록 양치질은 물론이고 머리를 감을때 등 사소한 일생생활에서도 팔꿈치 통증의 불편함을 호소하게 됩니다.
간단히 팔꿈치 통증 테스트를 한다면 의자를 한손으로 든다거나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뒤 팔꿈치의 동글동글한 부분을 누르면 아프며, 손등을 위로 향하게 하고 주먹을 힘껏 쥔뒤 손등을 위로 젖혔을때 팔꿈치 바깥쪽으로 통증이 생긴다면 팔꿈치 통증을 의심할수 있습니다.
팔꿈치 통증 치료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불어 충분한 휴식을 취하시는게 급선무 입니다. 약 한달정도 이상은 팔을 쉬게 해주셔야 하며 마사지도 하면 좋습니다. 손상되고 다친 근육을 쉬게 하는것도 중요한 요인중 하나이기 떄문입니다.
하지만, 팔과 손은 자주 사용하는 부위로 팔꿈치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엘보 밴드를 가볍게 사용한다면 팔꿈치 통증유발을 최소화 할수 있습니다.
오늘은 팔꿈치 통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팔꿈치 통증으로 인해 무조건 운동을 해야되겠다는 생각보다는 전문가의 진단을 통해 치료해가는 것이 가장 우선이 되겠습니다.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터미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1.04.12 |
---|---|
유튜브 바로가기(feat. 유튜브의 전망) (0) | 2021.04.09 |
링티 효과 및 부작용 알아보기 (0) | 2021.04.08 |
고용노동부 Hrd-net 홈페이지 알아보기 (0) | 2021.04.08 |
리그 오브 레전드 (Lol) - opgg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3.23 |